[git] 자주쓰는 명령어들
1. 깃헙 프로젝트 생성(리파지토리)

new 클릭

여기서 하던 대로 create repository

git 주소 복붙해서 여기저기 활용
2. 터미널로 깃허브 로그인
처음 설치 후 사용자 정보 입력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유저이름~~"
git comfig --global user.email "유저이메일~~"
깃 저장소 만들기
mkdir git-folder
-> git-folder 라는 폴더 만든다.
cd git-folder
-> git-folder폴더로 이동한다.
git init
-> 깃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시작한다는 명령 (. git이라는 폴더가 생긴다)
작업은 git-folder폴더 안에서 하면 된당
3. 현재 branch 확인 / checkout
- 초기 브랜치는 master로 커밋된다 but 새로운 브랜치 파서 하면 됨 *HEAD는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를 가리킴
git branch new1
git branch new2
-> 새로운 브랜치 new1 new2 만듦
git branch
-> 브랜치 현황 확인
git checkout new2
-> new2 브랜치로 변경됨
4. 원격저장소와 연결(push, pull)
git status
-> 현재 상태 확인
commit 할 (변경된) 내용이 없으면 커밋되지 않음 - 뭐라도 변경하고 커밋을 해야 함
--- 변경작업 ---
git add.
->변경한 (모든) 내용을 add 해줌
- (git status)로 확인
git commit -m "커밋메시지"
-> 커밋함
처음 커밋하고
git remote add origin 깃헙 repository주소
git pull repository로 버전을 맞춰줘야 함
협업할 깃허브에 push
git push (origin master)
git push --set-upstream origin master
이렇게 하면 초기 푸시한 것 - 처음엔 마스터로 푸시되니까 원격브랜치 따로 만들어야 함
git push --set-upstream origin 새브랜치이름
또한 git pull 명령을 먼저 쓰고 최신정보 받아와서 push진행해야 함(하나의 브랜치를 여러 명이 쓸 경우)